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57)
JavaScript map 함수 Javascript map 함수란? 배열의 값에다가 맵핑된 새로운 배열을 얻어낼때 사용한다. map 함수 사용법 let names = ["김구라", "해골", "원숭이"]; names.map((매개변수)=>{ return 매개변수 + 변경하고싶은 값; }); 매개변수가 하나인 경우 ( ) 소괄호 생략 가능하다. names.map(매개변수=>변경할값); 활용 예제) 배열 객체의 활용 배열의 .map() 함수를 이용해서 맵핑(하나하나 작업)된 새로운 배열 얻어내기 let names = ["김구라", "해골", "원숭이"]; // 배열의 map() 함수 호출하면서 화살표 함수 전달하기 let result = names.map((item)=>{ return item+"님"; }); // 매개변수가 하나인 경우 ..
JavaScript filter 함수 Javascript filter 함수란? 여러가지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뽑고싶을때 사용한다. 어떤 데이터 집합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뽑아낼수 있다. filter 사용법 1) let nums = [-10, 20, -15, 5, 30]; nums.filter((매개변수)=>{ return 매개변수 조건 }); 2) let nums = [-10, 20, -15, 5, 30]; nums.filter((매개변수)=>매개변수 조건); 활용 예제) 배열 객체의 활용 배열의 .filter() 함수를 이용해서 필터링된 새로운 배열 얻어내기 let nums = [-10, 20, -15, 5, 30]; // 배열의 filter 함수를 호출하면서 화살표 함수 전달하기 let result=nums.filt..
[Eclipse] Java static 의미 및 예제 static 은 자바언어를 사용할때 자주 마주치는 키워드 이다. 대표적으로 main 함수를 선어할 때에도 마주치게 된다. 그렇다면 static이 어떤 역활을 하기에 적혀있는지 알아보자. static 이란? static은 정적인, 고정된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변수와 메소드에 static을 사용하여 정적변수와 정적 메소드로 만들 수 있다.이를 정적 멤버(정적변수와 정적메소드)라고 한다. 활용 예제) Myutil 클래스에 static 필드와 메소드를 생성하였다. MainClass06 에서 각각 메소드와 필드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였다. 클래스명.메소드명(); 클래스명.필드명;
[Eclipse] Java this 의미 및 예제 java 에서 this 란 인스턴스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키워드이다. this를 통해 클래스 내 데이터를 불러올수 있다. this. 으로 사용할수있다. 활용 예제) car1.showInfo(); 을 호출하였을때 "차의 이름은 소나타 이고 가격은 1000만원 입니다." 를 출력되도록 Car 클래스에서 작성 "String 텍스트 사이에 this.name, this.price 을 입력하여 다른곳에서 호출하였을때 해당 값이 사이에 출력되게 입력하였다. MainClass05 에서 car1.name을 "소나타" 으로, car1.price 을 1000 값을 입력하였기때문에 콘솔창에 "차의 이름은 소나타 이고 가격은 1000만원 입니다." 으로 출력된다.
[Eclipse] Java 참조 Class의 역활 1. 객체의 설계도 역활 - 객체는 heap 영역(사물함) 에 들어 있는 물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class 를 이용해서 객체를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갯수 만큼 만들어 낼수 있다. - 만들어진 객체가 어떤 저장소와 어떤 기능을 가지게 할지 class 로 설계 할수 있다. 2. data type 역활 3. static 필드와 메소드를 포함하는 역활 활용 예제) Step03_Class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test.main, test.mypac 의 패키지 안에 각각 MainClass, Car 클래스를 생성하였다. [필드 정의하기] - 클래스의 { } 중괄호 안에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필드를 정의 할수 있다. - 초기 값을 부여하지 않으면 기본 값이 들어 간다. - int 의 기본값은 0..
[Eclipse] Java 3항 연산자 Java 의 3 항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String result = isWait ? a : b; isWait 가 true 면 a 값을 리턴하고 isWait 가 false 면 b 값을 리턴한다. 활용 예제) public class MainClass0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isWait = true; // isWait 이 true 면 "기다려요" 가 대입되고 false 면 "기다리지 않아요" 가 대입된다. String result = isWait ? "기다려요" : "기다리지 않아요"; System.out.println(result); // "기다려요" 출력 // 위의 3 항 연산자는 아래와 같이 if ~ else 문과 같..
[Eclipse] Java 대입 연산자 Java 의 대입 연산자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 값을 더한다 -= : 값을 뺀다 *= : 값을 곱한다 /= : 값을 나눈다 %= : 값을 나눈 나머지값을 나타낸다 활용 예제) public class MainClass0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10; num += 2; // num = num+2; num -= 3; // num = num-3; num *= 4; // num = num*4; num /= 5; // num = num/5; num %= 6; // num = num%6; } } 디버그 모드 num = 10 에서 2를 더한 값인 12로 되었다. num = 12 에서 3을뺀 값인 9가 되었다. num = 9 에서 ..
[Eclipse] Java 논리 연산자 Java 의 논리연산자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or 연산자 || : / 또는 이라고 읽으면 된다. 어느 하나만 true 면 결과는 true 이고 모두다 false 일때만 결과는 false 이다 and 연산자 && : 그리고 라고 읽으면 된다. 모두다 true 일때만 결과는 true 이고 어느 하나만 false 면 결과는 false 이다 not 연산자 ! : ~가 아니면 이라고 읽는다. boolean 값을 반전시킨다. 활용 예제) public class MainClass0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or 연산 boolean result1 = false || false; // false boolean result2 = false || true;..